작년말 12월 14일부터 파리-리옹 간 운행되는 TGV에서 무료 와이파이 (Wifi)가 실시되고 있다. 시속 300km의 속도에서 Wifi 사용이 사상 처음 기술적으로 가능해 진 것이다.
프랑스 국영철도 (SNCF)는 2017년말까지 TGV 300 편성 (1편성은 여객 차량 16대 + 전동차 2대)에 모든 승객이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와이파이가 설치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프랑스에선 철도우편 운송을 위해 우체국 (La Poste) 전용 TGV가 우편열차로 사용되고 있다. 물론 소유는 프랑스국영철도회사 (SNCF)이다.
우편열차 (郵便列車)는 우편물을 각 지역으로 발송하는데 사용되는 열차로 우체통, 우체국에서 우편물을 모아 열차에 실어서 배달한다. 국내에서는 대량을 모아서 배달해야 하는 특성상 빠른 배송이 어렵고, 도로를 이용하는 택배사업의 신장에 따른 경쟁력 약화로 철도소화물 취급량이 급감하고, 택배시장의 수송비중도 2.2%의 미미한 수준에 머물러 2006년 5월 24일, 시행 102년 만에 전격 폐지되었다.
십년 전인 지난 2006년 적자이던 한국철도공사의 경영개선을 위해 철도소화물 (小貨物) 취급 제도의 폐지로 철도우편 운송사업이 중지되며 소화물차 (小貨物車)는 방치되다가 폐차 수순을 밟았다.
TGV 우편열차 이외에 프랑스에서는 세계 1,2차 대전중 유럽에 우편물을 항공을 이용하여 발송하기 시작해 대전후엔 프랑스 각 지방과 프랑스령, 유럽 및 전세계로 발송하기 위해 에어프랑스 소유의 전용 우편항공 (Aéropostale)이 2000년까지 존재하였었다. 이듬해 2001년에 100% 우체국의 자회사인 유럽에어포스트 (Europe Airpost)로 변경되어 프랑스에서 에어프랑스 이후 두번째 국영항공사가 되었다. 이후 우편물만이 아닌 주/야로 승객과 화물을 병행해 운송하였다.
프랑스 우체국은 2007년말 유럽에어포스트를 벨기에 자본 그룹 (CMB)의 자회사인 아일랜드계 ASL 항공사에 인계했고, 현재는 회사명도 ASL 항공 프랑스로 바뀌었고, 다만 3% 미만의 주주로 남게 됐다.
'프랑스뉴스·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지 클루니, 프랑스 세자르영화제서 공로상 수상 (0) | 2017.02.26 |
---|---|
프랑스, 세계 최초 ‘태양광 패널 도로’ 개통 (0) | 2017.02.19 |
에어프랑스-KLM, 파리 아울렛 '라 발레 빌리지' 할인 이벤트 (0) | 2017.01.30 |
프랑스 백화점들도 한국처럼 일요일 영업개시 (0) | 2017.01.29 |
2016/2017년 샹젤리제 대로 조명 점등 (0) | 2016.12.03 |